김내성 | 1939 | 마인 | 용산의 한강 인도교를 달리는 '세단'이 묘사 |
김동인 | 1934 | 수평선 너머로 | 등장인물이 탄 택시가 용산가도를 지나 한강철교를 달림 |
나도향 | 1925 | 벙어리 삼룡이 | 1910년을 전후한 시기 용산의 연화봉(蓮花峯, 일제강점기 청엽정靑葉町)을 배경 |
문순태 | 1987 | 문신의 땅 | 등장인물은 과거 기지촌 생활을 했고, 그로 인한 정신적·육체적 상처를 가지고 있었다 |
박경리 | 1957 | 불신시대 | 등장인물인 '갈월동 아주머니'는 가족을 잃은 슬픔을 극복하고자 노력하는 진영에게 종교를 권유 |
박태원 | 1933 | 피로-어느 반일의 기록 | 작가는 한강인도교를 이용하지 못하고, 언 강물 위를 걸어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관찰했다. |
박태원 | 1935 | 길은 어둡고 | 경성에서 군산으로 이동하는 기차를 타고 이동하던 중, 창밖으로 용산 시가를 바라보며 과거를 회상 |
손창섭 | 1968 | 길 | 1960년대 용산의 모습이 세밀하게 묘사 |
염상섭 | 1954 | 취우 | 등장인물들은 피난 중 한강인도교의 폭파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, 서울에서 숨어 지낸다. |
염상섭 | 1932 | 백구 | 등장인물이 용산역 대합실과 철도관사길을 걷는 모습이 등장하여, 철도시설이 정비된 용산 일대의 모습을 확인 |
염상섭 | 1924 | 만세전 | 경성에 도착한 '나'는 용산역에서 서울에 처음 방문하는 듯한 사람들의 모습을 관찰 |
염상섭 | 1927 | 사랑과 죄 | 을축대홍수(1925) 이후 변화한 용산 일대의 모습이 묘사 |
유재순 | 1984 | 여왕벌 | 이태원에서 거주하며, 미군과 교류하는 기지촌 여성들의 이야기 |
이광수 | 1934 | 그 여자의 일생 | 주인공 '금봉'이 일본으로 떠나는 출발지이자 작별인사를 하는 공간으로 용산 정거장이 묘사 |
이광수 | 1932 | 흙 | "한강 인도교에는 짐마차와 노동자, 늦게 집으로 돌아가는 농부들로 별로 다니는 사람이 없었다. 용산 삼개에 반짝거리는 전등 |
이태준 | 1942 | 별은 창마다 | 경성역에서 용산, 그리고 제일인도교(한강인도교)로 달리는 화물차를 묘사 |
이태준 | 1941 | 사상의 월야 | 전차, 정류장, 경의선, 한강철교 등 근대 교통수단과 관련된 소재가 용산을 배경 |
이태준 | 1940 | 청춘무성 | 용산은 삼각관계의 갈등을 겪은 등장인물이 서울에서 수원으로 이동하기 위한 경유지로 등장 |
정비석 | 1954 | 자유부인 | 미군기지에서 근무하는 한국인 사무원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인물 |
채만식 | 1946 | 미스터 방 | 경성 연합군 포로수용소(현재의 청파동 신광여자중학교, 신광여자고등학교 부지)에서 일한 경력을 기반으로 미군의 통역 |
채만식 | 1937 | 탁류 | 후반부에서 등장인물이 새로운 삶을 꿈꾸는 공간으로 '서울'이 제시되었다. 이때 용산의'한강철교'가 언급 |
채만식 | 1934 | 염마 | 경성역과 용산, 한강인도교를 배경으로 탐정과 범인의 추격전이 묘사 |
최승자 | 1981 | 청파동을 기억하는가 | 타인에게 버림받은 여성을 시적 화자로 내세워, 청파동을 배경 |
최정희 | 1958 | 끝없는 낭만 | 주인공은 주한 미군과 사랑에 빠지지만, 스스로 '양공주'와 다를 바 없다고 느끼며 고뇌한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