표 2 지하철 역사 이름 개정의 유형
개정 전 역명 | 현재 역명 | 개정 시기 | 개정 사유 | 유형 |
화양역 | 건대입구역 | 1985년 | 역명과 지역의 불일치 | 공무원형 |
휘경역 | 외대앞역 | 1996년 | 역명과 지역의 불일치 | 공무원형 |
광희문역 | 청구역 | 1997년 | 다른 역으로 혼동 우려 | 시민운동가형 |
남한산성역 | 산성역 | 1998년 | 다른 역으로 혼동 우려 | 공무원형 |
단대역 | 남한산성입구역 | 1998년 | 다른 역으로 혼동 우려 | 공무원형 |
개농역 | 개롱역 | 2000년 | 한글표기법 변화 | 공무원형 |
김포국제공항역 | 김포공항역 | 2001년 | 인근 지형 지물 변화 | 공무원형 |
구로공단역 | 구로디지털단지역 | 2004년 | 인근 지형 지물 변화 | 정치인형 |
가리봉역 | 가산디지털단지역 | 2004년 | 동이름 변경 | 정치인형 |
시흥역 | 금천구청역 | 2008년 | 다른 지역으로 혼동 | 정치인형 |
동대문운동장역 |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| 2009년 | 인근 지형 지물 변화 | 공무원형 |
성내역 | 잠실나루역 | 2010년 | 다른 지역으로 혼동 | 복부인형 |
성북역 | 광운대역 | 2013년 | 역명과 지역의 불일치 | 정치인형 |
신천역 | 잠실새내역 | 2016년 | 다른 역으로 혼동 우려 | 복부인형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