표 1 지역문화콘텐츠의 개발단계 및 개발요소

콘텐츠 개발단계 개발요소
지역문화원형 고대유적, 고대 국가간 교류 상황, 문화적 기원, 학문적 전통, 자연적 특성, 지역적, 기후적 특성, 고대사회(구석기, 신석기)유적, 유교와 불교문화, 고대사회제도, 설화, 지역 내 학문적 업적물을 남긴 인물, 주요 서적, 유형, 무형 문화재, 천연기념물 및 문화유적, 역사적 명소 등
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역사적 사건과 사건에 내포된 정신, 사회적 분위기 변화 및 사상의 변화, 주요 역사인물의 사상, 사회운동 및 사회적 영향, 신앙생활 및 전파, 문화교류 및 문화접변 현상 등
콘텐츠와 콘텐츠 스토리의 멀티미디어화 문화소재 발굴, 연구단계 및 지역의 문화발전 로드맵 구상, 국내 및 세계적 수준의 향토문화유산의 디지털 자료 구축, 지역배출 인력의 고급전문인력 육성, 지역의 문화 콘텐츠 기획 및 제작, 서비스 솔루션 분야 전문가 육성 등
콘텐츠 상품화 지자체 차원에서 문화콘텐츠 관련 업체 지역유치, 문화 콘텐츠 산업 창출을 위한 브랜딩 지원 시스템 구축 등
출처: 류정화, 2006. “지역문화콘텐츠 개발의 이론과 실제: 축제를 중심으로.” 『인문콘텐츠』 제8호, 인문콘텐츠학회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