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구자 (연도) | 연구대상 | 독립변수 (효과분리) | 종속변수 | 연구결과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---|
이재성 외 (2016) | 서울 12개 지역 | 벽화조성 (○) | 범죄의 두려움 | 벽화는 범죄의 두려움을 감소시키지 못함 | 범죄건 수에 대한 연구가 아님 |
벽화 관련 16개 논문 | 벽화조성 (△) | 범죄율 (실제 범죄율 ×) | 유동인구의 증가가 범죄율을 감소시키나 지속적인 관리 필요 | 실제 범죄율에 대한 분석 아님 | |
천안 원성동 | 다양한 환경개선 (×) | 사회적 활동 범죄건 수 | 벽화 등의 다양한 환경개선이 주민의 사회적 활동을 증가시키고 범죄를 감소시킴 | 범죄건 수 변화를 살펴보나, 벽화의 효과인지 모호 | |
부산 매축지 마을 | 벽화조성 (△) | 범죄건 수 | 벽화마을 조성이 범죄건 수를 감소시킴 | 실제 범죄건 수 변화의 분석 | |
부산 흰여울 마을 | 벽화조성 (△) | 범죄건 수 | 벽화마을 조성이 범죄건 수를 증가시킴 | 실제 범죄건 수 변화의 분석 | |
부산 감천문화마을 | 벽화조성 (△) | 범죄건 수 | 벽화마을 조성이 범죄건 수를 증가시킴 | 실제 범죄건 수 변화의 분석 |